건강

굶으면 충치균 사라질까? 뮤탄스균의 생존 비밀

sks0107 2025. 3. 6. 01:19
반응형

뮤탄스균(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)은 충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세균으로, 당분을 섭취하여 산을 생성하고 치아를 부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
굶거나 영양 공급을 중단하면 뮤탄스균의 활동이 급격히 감소할 수는 있지만, 완전히 사멸하지는 않습니다.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뮤탄스균은 당분이 없어도 일정 기간 생존 가능
    • 뮤탄스균은 치아 표면과 치태(플라크)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, 세균들끼리 서로 보호하는 바이오필름을 형성합니다.
    • 일정 기간 동안 당분 공급이 없어도 일부는 생존하면서 다시 당이 공급될 때 활동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.
  2. 타액과 구강 환경이 뮤탄스균의 생존을 돕는다
    • 타액 속에는 약간의 단백질과 당이 포함되어 있어, 아주 극단적인 환경이 아니라면 뮤탄스균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습니다.
    • 또한, 다른 구강 내 세균이 분해하는 단백질과 같은 영양소를 활용해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3. 뇌사 상태라도 완전한 멸균은 어려움
    • 뇌사 상태 환자는 구강으로 영양을 섭취하지 않지만, 구강 세정을 꾸준히 하지 않으면 여전히 박테리아가 생존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의료 환경에서도 구강 관리를 하지 않으면 구강 내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결론

오랜 기간 굶거나 구강을 철저히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면 뮤탄스균이 많이 감소할 수 있지만,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. 충치를 예방하려면 당 섭취를 줄이고, 꾸준한 양치질과 치과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.

반응형